반응형

KG그룹 관련주

 

KG컨소시엄에 참여한 KG스틸(016380)은 전 거래일 대비 7.49%(1,300원) 하락한 1만 6050원

KGETS(151860)는 6.15%(1350원) 하락한 2만 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KG이니시스(035600)는 1만 4050원으로 1.75%(250원) 하락했다.

 

KG그룹

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

 

설립일자

경기화학은 1954년 12월에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KG케미칼 출범

 

위치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92 (순화동)

 

곽재선 회장

 

기업형

준대기업

 

산업 부문

화학, 철강, 자동차, 에너지, IT, 교육, F&B, 미디어

 

KG그룹은 1954년 경기화학공업(주)이 설립했다. 1990년대까지 경기화학, 경기광업, 달재종합상업으로 구성되었다. KG그룹 관련주 당시 경기화학은 화학비료가 주산품이었고, 2000년까지는 국내 비료시장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컸다.

 

 

KG그룹 관련주KG그룹 관련주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

 

2010년대 들어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이 이어지고 있다. 2012년 이데일리, 웅진패스원, 2019년 9월 동부그룹으로부터 동부제철을 인수했다. KG그룹 관련주 2017년 2월 KFC코리아, 2020년 9월 할리스커피를 인수하는 등 외식산업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쌍용자동차의 인수

 

2022년 4월 인수에 실패한 쌍용차 인수전에 뛰어들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KG그룹 관련주 곽재선 회장이 이끄는 M&A의 경우 인수 후 회사 정상화에 기여했고 화학비료와 철강회사를 통한 풍부한 매출과 자금력으로 엄청난 성과를 거뒀기 때문에 가능했다.

 

 

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KG그룹 관련주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

에디슨모터스와 쌍방울그룹이 중견기업 이하에 머물렀던 가운데 KG그룹이 준대기업이라는 점에서 유력한 인수후보로 평가받았고, 결국 2022년 5월 13일 인수협상 우선순위로 선정됐다. KG그룹 관련주 그리고 마침내 2022년 6월 28일 법원은 쌍용차가 최종 구매자로 선정되었다고 판결했다.

 

기존 계열사

 

KG케미칼

KG스틸

KG ETS

KG 이니시스

KG 모빌리언스

KG에너켐

KG 제로인

KG에듀원

스룩

이데일리

KFC 코리아

KG 할리스 F&B

 

쌍용차 새 주인 KG그룹 사업순위 자산 순위 자산 인수 가격 3,355억 원

 

쌍방울은 자금 조달 계획이 불투명해 탈락했다. KG그룹이 쌍용차의 새 소유주로 선정됐고, 서울회생법원은 KG그룹이 주도하는 KG 컨소시엄을 쌍용차 인수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KG그룹 관련주 1985년 경기화학, 비료회사 KG그룹 설립 KG스틸, KG케미칼, KG이니시스는 국내 21개, 해외 8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KG그룹 관련주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산 5조 3,460억 원으로 재계 71위다. 보도에 따르면 KG그룹은 쌍용차 인수에 약 3,355억 원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KG그룹 관련주 이는 KG그룹에 앞서 인수 지위를 취득한 에디슨모터스가 제시한 3048억 원보다 300억 원가량 많은 액수다.

 

끝까지 KG그룹과 경쟁했던 쌍방울그룹은 KG그룹보다 높은 금액을 제시했으나 자금조달 계획이 불투명해 결국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차는 다음 달 초 KG컨소시엄과 회의를 열어 채권단에 합의할 예정이며 에디슨자동차는 쌍용차 채무의 1.75%만 지급하겠다고 주장해 채권단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KG그룹은 현금상 환율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KG그룹 관련주 지난해 4월 15일 회생절차에 들어간 쌍용차는 회생절차에 따른 규제로 오는 10월 15일 안에 인수절차를 마쳐야 한다.

 

KG그룹 관련주KG그룹 관련주
KG그룹 관련주

 

새 주인을 찾아 회생절차를 마쳐도 쌍용차 경영정상화가 어려운 데다 2017년 이후 누적적자로 부채통합기준이 2조 원에 육박하고, 신차 출시나 전기차 전환도 어려운 상황이다. KG그룹 관련주 인수 과정에서 기업 구조조정과 노사 갈등이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